2024. 1. 4. 14:26ㆍ그림/스파인
안녕하세요. 오늘도 어김없이 접니다.
오늘은 김기사님의 유튜브-가슴 움직이기 튜토리얼을 보고 총 3단계로 나누어 공부해 봤습니다.
https://youtu.be/BHFikELKyl8?si=LJMMWsbIpIXI1p25
튜토리얼 1단계 : 막대 움직이기
가장 주요하게 짚고 내려가야 하는 이야기는 바로 자식뼈의 움직임입니다.
움직임의 최고점에서, 최저점으로 향하는 궤적을 반으로 나누었을 때 나타나는 영역을
임의로 고점에 가까운 A와 저점에 가까운 B로 가정하였을 때,
자식뼈의 움직임은 고점에 가까운 A 영역 안에서 시작되어야 한다는 이야기였습니다.
적어두니 뭔 말인지 도통 이해하기가 힘들죠. 저도 그랬습니다, 결국 답은 실습이죠.
출처: http://down.edunet4u.net/KEDABA/cyber_201003/07_mid1/04_sci/cyber00_49_mid10/common/49.pdf
이해가 가시나요? 요점은 가속도입니다. (적어도 저는 그렇게 느꼈어요.)
움직이는 물체의 가속도를 그래프로 정리했을 때의 모습은 각각 이러하죠.
일정한 속도로 일정하게 움직이는 그래프,
느린 속도로 움직이다가 가속하는 그래프,
빠른 속도에서 서서히 감속하는 그래프.
만약 자식뼈의 움직임이 A 영역 안에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자식뼈의 움직임은 위의 세 가지 그래프 중 어느 하나에도 속하지 못하겠죠.
더욱 단순히 생각해 보자면 애니메이션이 깨지게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하여 애니메이션 작업 중 사용된 도프 시트를 살펴보면 이렇게 부모뼈의 움직임이 시작되고 난 이후 절반이 넘어서기 전에
자식뼈의 움직임이 시작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튜토리얼 2단계 : 쇠구슬과 고무구슬 움직이기
튜토리얼 1단계를 무사히 클리어했다면 이제 다음 단계입니다.
물체의 재질에 맞춰서 이동뿐만이 아닌, 크기 변환을 통한 모양에 변화를 주는 거죠.
애니메이션의 12법칙에 의거하여, 부드러운 물체일수록 운동하는 방향으로 늘어나며, 반대로
횡축으로는 줄어듭니다.
막상 이렇게 적고 있던 저도 마냥 익숙하지만은 않아서 움직임이 퍽 자연스럽지만은 않아서
아쉽네요.
튜토리얼 3단계 : 가슴 움직이기
어우 숭해라.. 각설하고, 위의 두 튜토리얼을 완료했다면 이제 가슴을 움직일 준비가 끝난 겁니다.
쇠구슬이 아닌 고무구슬과 마찬가지로 크고 아름다운 가슴일수록 부드럽습니다.
가장 중요하게 배운 포인트는 바로 가슴 메쉬 작업을 진행할 때 이렇게
가슴의 높낮이에 따라서 등고선을 그리며 작업을 해줬다는 것입니다.
다키스트던전을 할 때는 이런 건 전혀 모르고 그저 자동메쉬 생성 기능만 미친 듯이 난타했었는데
이제 좀 감이 잡히는 기분이 드네요.
두 번째로 많이 배웠던 점은 바로 가슴의 구조에 따른 가중치에 대해서입니다.
유방은, 가슴에 붙어있습니다.
따라서 유방의 윗부분일수록 가슴에 붙어있어 움직임이 둔합니다.
반대로 가슴과 떨어진 아래쪽의 유방일수록 더욱 적극적으로 출렁이죠.
감을 잡으셨나요?
가슴과 붙어있는 윗부분의 유방의 가중치는 적게
가슴과 떨어져 있는 아랫부분의 유방의 가중치는 크게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미입니다.
사실 누군가를 가르쳐주기 위함이 아닌, 저 스스로가 익힌 것을 되새김질하며 소화하기 위한 의미가 크기에
이해가 잘 안 가신다면 김기사님 튜토리얼을 보며 저처럼 똑같이 진행해 보시는 게 가장 스마트한 방법일 겁니다.
무엇보다 가슴 움직이는 건 재밌잖아요?
'그림 > 스파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파인 스터디-IK를 활용한 웨이브 만들기 (0) | 2024.01.09 |
---|---|
스파인 스터디-깃발 움직이기 (1) | 2024.01.03 |
해즈빈 호텔 루나 스파인 작업 (1) | 2024.01.03 |
트리스타나 스파인 작업 (0) | 2023.12.28 |
룰루 스파인 작업 (0) | 2023.12.28 |